文 정부 역점 태양광, 5년간 3조 8천억 들였지만 발전량 증가는 미미. 폐패널 난립 우려
文 정부 역점 태양광, 5년간 3조 8천억 들였지만 발전량 증가는 미미. 폐패널 난립 우려
  • 김태식 기자 booja8126@naver.com
  • 승인 2022.09.01 14: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년간 신재생에너지 5조 8천원 투입. 태양광이 65.8%차지

[김태식 기자]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예산을 급격히 늘렸지만 발전량 증가는 미미하고, 오히려 폐패널에 따른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곤경에 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주환 의원 ⓒ 시사매거진 2580
▲이주환 의원 ⓒ 시사매거진 2580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부산 연제구)이 국회 입법조사처에서 받은 ‘문재인 정부의 태양광 사업’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7년~2021년) 신재생에너지에 들인 예산은 총 5조 8천억원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태양광이 전체 65.8%인 3조 8,455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풍력 4,823억원, 수소연료전지 4,590억원 순이었다.

태양광 예산은 2017년 5,118억원 수준이었지만 2018년 6,673억원, 2019년 7,331억원, 2020년 9,813억원으로 매년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는 9,519억원의 예산이 투입돼 2017년 대비 86%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태양광 발전설비 또한 문재인 정부에서 크게 증가했다. 작년 말 기준 태양광 누적 설비용량은 18,659MW로, 이 가운데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신규 설치된 용량만 14,392MW인 것으로 나타났다.

태양광 발전소 역시 크게 증가했다. 2018년까지 태양광 발전소는 35,508개소였으나,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만 68,635개소에 달했다.

문제는 이렇게 재정을 투척했음에도 불구하고 신재생에너지가 전체 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제자리 걸음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e-나라지표 상 에너지별 발전 비중 추이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는 문재인 정부 출범전인 2016년 4.8% 대비 2021년 7.5%로 2.7%포인트 증가에 그쳤고 오히려 예산을 집중적으로 투입한 2018년부터 2021년 사이의 증가폭은 1.3%포인트에 불과했다.

더구나 태양광 시설 설치 증가는 산업 핵심 소재와 부품의 국산화율이 낮고 특히 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은 국내 기업보다는 중국 기업의 배만 불렸다는 분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탄소중립 실현가능성 제고를 위한 발전 에너지원별 현안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태양광 패널의 필수 소재인 ‘잉곳’은 100%, ‘웨이퍼’는 93.4%가 중국에 의존하고 있고 이 두 부품의 무역수지 적자는 연간 2억6,000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내다봤다.

급격히 증가한 태양광 시설 증가에 따른 환경오염 피해는 과제로 남게 됐다. 산사태 위험 1급지에 설치된 태양광 시설 또한 시한폭탄이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설비 개발로 인해 산지 1ha당 평균 898주의 수목량이 훼손되는 것으로 분석했다.

무분별한 환경 파괴를 막기 위해 환경부는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고 있지만, 우후죽순 난립을 방관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2017~2022년 육상 태양광 환경영향평가 협의 현황’에 따르면, 산·농지 태양광 6,599건 가운데 92%인 6,075건에 대해 환경부는 조건부 동의 판정을 내렸다. 부동의는 2.9%인 193건에 불과했다.

뿐만 아니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폐태양광 패널 발생량은 2016년 6백톤~3천톤에서 2030년 2만5천톤~15만톤, 2050년 150만톤~230만톤으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환경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6월말까지 전국 시도별로 태양광 폐패널은 총 2,259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246톤에서 2020년 767톤, 2021년 754톤, 올해 6월말까지 389톤이 발생했다.

주요국들에서는 폐패널이 재사용 및 재활용될 수 있도록 분리・회수하는 기술과 물질의 고순도 분리 또는 회수율 등을 위한 심화 연구 또는 R&D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폐패널 재활용을 위한 제도도 마련하고 있다.

우리도 최근 6년간(2015~2020)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기술분야에 대한 정부 R&D 예산 534억원을 투입했지만, 그 규모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내년 1월부터 태양광 폐패널 생산자책임활용제도(EPR)가 본격 시행될 예정이지만 환경부와 태양광 업계간 갈등이 심화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이주환 의원은 "마구잡이로 설치된 태양광 시설은 잦은 사업주체 변경과 철수로 인한 발전 설비의 방치, 불법투기, 매립에 따른 환경오염도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환경부는 EPR 제도의 원만한 시행을 위한 갈등 해소를 비롯하여 안전한 철거, 폐기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400-12, 1225호 (가양동, 골드퍼스트)
  • 대표전화 : 02-2272-9114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남규
  • 법인명 : 시사매거진2580
  • 제호 : 시사매거진2580
  • 등록번호/등록일 : 서울 다 06981 / 2004-06-02
  • 등록번호/등록일 : 서울 아 03648 / 2015-03-25
  • 발행일 : 2004-06-02
  • 총재 : 이현구
  • 회장 : 김태식
  • 발행인 : 김남규
  • 편집인 : 송재호
  • 시사매거진2580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시사매거진2580.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smgz2580@naver.com
ND소프트